robots에 의한 meta태그 활용
메타태그에서 로봇지정은 매개개의 구체적인 페이지를 설정하는 방법임니다 .
로봇메타테그도 다른 키워드메타태그 언어인코딩메타태그와 마찬가지로 페이지의 <head></head>사이에 상주하며 로봇한테 본페이지의 로봇이 경로를 구체적으로 알려주는 역활을 함니다 .
robots의 설정방식
메타태그에 로봇을 설정시 영문대소문자의 구분이 없슴니다 .
모든로봇의 방문의 허용함니다 name=”Robots”
구글로봇만 허용함니다 name=”googlebot”
content부분에는 아래와 같은 4개의 선택할수 있는 명령들이 있고
index,noindex,follow,nofollow
매개의 명령들사이 ,로 구분함니다.
INDEX는 로봇한테 본페이지의 방문허용
FOLLOW는 본페이지의 링크세테이션을 기준으로 방문허용
로봇의 메타태그설정은 기본으로 INDEX와FOLLOW 이며 inktomi라는 명령도 있는데 본명령은 대부분 INDEX,NOFOLLOW 이런식으로 사용이 됨니다.
<META NAME="ROBOTS" CONTENT="INDEX,FOLLOW">
<META NAME="ROBOTS" CONTENT="NOINDEX,FOLLOW">
<META NAME="ROBOTS" CONTENT="INDEX,NOFOLLOW">
<META NAME="ROBOTS" CONTENT="NOINDEX,NOFOLLOW">
이렇게 대체로 4가지로 구분이 됨니다 .
이중
<META NAME="ROBOTS" CONTENT="INDEX,FOLLOW">는<META NAME="ROBOTS" CONTENT="ALL"> 이런식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META NAME="ROBOTS" CONTENT="NOINDEX,NOFOLLOW">는<META NAME="ROBOTS" CONTENT="NONE"> 이런식으로 사용이 가능함니다.
현재 robots.txt는 대부분의 검색엔진에서 사용을 하고 메타태그도 점차 많은 검색엔진에서도 사용을 하기 시작했슴니다 . 제일유명한 검색엔진 구글은 메타태그를 완전지원하며 archive 라는 명령으로 스크린샷(히스토리) 허용여부도 설정하게 되여 잇슴니다 .
<META NAME="googlebot" CONTENT="index,follow,noarchive">
위예제는 구글로봇 방문을 허용하며 본페이지의 링크스테이션을 기준으로 방문하되 스크린샷은 허용하지 않슴니다 . 이런식으로 사용을 하시면 됨니다 .
'검색엔진 마케팅(SEO) > Google 검색엔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색엔진 로봇 - robots.txt 양식 (1) | 2009.04.16 |
---|---|
구글검색 최적화의 44개 요소들 - seo 검색엔진 마테팅 (1) | 2009.04.15 |
타이틀(Title) 이 구글검색에 주는 영향 - Google 검색엔진 최적화 테스트 (1) | 2009.04.14 |
Google 검색엔진 최적화 (0) | 2009.04.14 |